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64)
4강 자료형 자료형(Data Type)이란 변수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변수에 값을 담기 이전에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등 어떤 값들을 지닐 수 있는지 자료형을 미리 정해주어야 합니다. 자료형/ 명칭 크기 값의 표현범위 정수형 char 1바이트 -128이상 +127이하 short 2바이트 -32,768이상 +32,767이하 int 4바이트 -2,147,483,648이상 +2,147,483,647이하 long 4바이트 -2,147,483,648이상 +2,147,483,647이하 long long 8바이트 -9,223,372,036,854,775,808이상 +9,223,372,036,854,775,807이하 실수형 float 4바이트 +-3.4 x 10^-37이상 +-3.4 x 10^-38이하 double 8바이트 ..
3강 연산자 C언어에서의 연산자를 알아보자. 사칙연산과 나머지 더하기연산 4 + 2 뺴기연산 4 - 2 곱하기연산 4 * 2 나누기연산 4 / 2 나머지연산 4 % 2 비교연산자 두 값이 같은지 비교한다. 4 == 2 두 값이 같지 않은지 비교한다. 4 != 2 왼쪽값이 큰지 비교한다. 4 > 2 오른쪽값이 큰지 비교한다. 4 < 2 논리연산자 AND연산 && OR연산 || NOT연산 ! // 무언가를 출력하기위해서 미리 만들어진 함수를 알려주는 것 #include // os가 실행시켜주는 함수 void main() { // 사칙연산 printf("%d\n", 4 + 2, "\n"); printf("%d\n", 4 - 2); printf("%d\n", 4 * 2); printf("%d\n", 4 / 2); print..
2강 프로그램의 기본구성 함수란 적절한 입력과 그에 따른 출력이 존재하는 것 C언어의 기본 단위 함수의 호출과 인자 전달 인자전달 - 입력한 값을 전달 함수호출 - 함수의 실행을 요구 표준 라이브러리 표준화하여 이미 만들어놓은 함수들의 집합 세미콜론 문장의 끝을 의미한다. 리턴의 의미 함수를 호출한 영역으로 값을 반환 주석 // 프로그래머의 메모 역할 컴파일러는 주석을 컴파일하지 않는다. printf 함수의 이해 서식문자 변환 방법 %d 부호 있는 10진 정수 %f 부호 있는 10진 실수 %c 문자 %% %기호 자체 출력
1강 프로그래밍의 이해 프로그래밍 언어란 사람과 컴파일러가 이해 할 수 있는 약속된 형태의 언어이다. 컴파일러란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 할 수 있도록 기계어로 변환 해 주는 역할을 한다. 기계어란 0과 1로만 이루어져있는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다. 논리게이트 NOT 0은 1로 1은 0으로 변환하는 부정문 AND 1과 1이 전달되었을 때만 값이 참이되는 AND문 OR 둘중에 하나이상 전달된다면 참이되는 OR문 NAND AND와 반대로 AND의 결과를 부정하는 NAND문 NOR OR와 반대로 OR의 결과를 부정하는 NOR문 X-OR 두 개의 숫자가 다를때만 참을 반환한다 X-NOR 두 개의 숫자가 같을때만 참을 반환한다 논리게이트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AND(그리고) OR(또는) N..
실습 2-2 #include #include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iMsg, WPARAM wParam, LPARAM iParam); int WINAPI WinMain(HINSTANCE hInstance, HINSTANCE hPrevInstance, LPSTR IpszCmdLine, int nCmdShow) { HWND hwnd; MSG msg; WNDCLASS WndClass; WndClass.style = CS_HREDRAW || CS_VREDRAW; WndClass.lpfnWndProc = WndProc; WndClass.cbClsExtra = 0; WndClass.cbWndExtra = 0; WndClass.hInstance = hInstance; WndCla..
실습 1-2 #include #include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iMsg, WPARAM wParam, LPARAM iParam); int WINAPI WinMain(HINSTANCE hInstance, HINSTANCE hPrevInstance, LPSTR IpszCmdLine, int nCmdShow) { HWND hwnd; MSG msg; WNDCLASS WndClass; WndClass.style = CS_HREDRAW || CS_VREDRAW; WndClass.lpfnWndProc = WndProc; WndClass.cbClsExtra = 0; WndClass.cbWndExtra = 0; WndClass.hInstance = hInstance; WndCla..
실습 1-1 윈도우 프로그램은 메인함수와 메시지 처리 함수로 나뉘어진다. 메인함수의 이름은 보통의 프로그램 main이 아니라 WINAPI라고 명시하고 WinMain으로 만들어준다. 메시지 처리 함수는 CALLBACK WndProc으로 만들어 준다. 윈도우에서의 메시지 처리 1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한다. 2 발생한 이벤트를 윈도우 시스템이 감지한다. 3 이벤트 발생을 알린다.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방식 중 정숫값인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을 택한다. 보내온 메시지가 메시 지 큐에 차례로 쌓인다. 4 WinMain() 함수는 메시지 큐에서 맨 앞에 대기 중인 메시지를 꺼낸다. 5 꺼낸 메시지를 해석해 메시지 처리 함수에 보낸다. GetMessage() 함수가 메시지 큐에서 메시지를 꺼낸다. 꺼낸 메시지는..
백준 2588 곱셈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588 2588번: 곱셈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차례대로 (3), (4), (5), (6)에 들어갈 값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분류: 수학, 사칙연산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a, b; cin >> a; cin >> b; cout